본문 바로가기
시정뉴스데스크

고향사랑기부제 알리기 '안간힘'

(앵커)
이렇게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에 숨통을 틔워주고자
시행된 고향사랑기부제가 있는데
아는 사람들이 아직 많지 않습니다.

제도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들은 뭔지
김영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광주시청 공무원들이 고향사랑기부제를
알리기 위해 직접 길에에 나섰습니다.

설 연휴를 맞아
고향을 찾은 귀성객 한명 한명에게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해줄 것을 호소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 입니다."

고향사랑기부제로 지방재정을 확충하고,
지역특산품을 답례품으로 제공해
지역경제도 활성화 시킨다는 점에서
자치단체마다 기부자를 늘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행초기
일반 시민보다는 연예인이나
유명인을 중심으로
기부가 이뤄지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광주시에선 250건 정도 넘게
접수됐는데,
시민들에겐 여전히 생소합니다.

* 시민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해 조금 아시는게 있으신가요?)
"조금 들어본 것 같은데 정확히 모르겠어요"

* 신혜현 / 서울시 종로구
"SNS채널에 (고향사랑기부제)광고에 노출이 많이 될 수 있게
일반적으로 만화형식이라든지, 홍보 포스터라든지(광고를 많이 했으면...)"

지자체도 고민은 있습니다.

도심 특성상 이렇다할 특산품이 없어
답례품에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광주시와 가까운 나주, 장성, 화순 등과 연계한
관광상품을 개발해 답례품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특히 지역의 주요 현안인
취약계층 지원과 전통시장 살리기 등을
내세워 기부동기를 부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신승근 / 한국공학대학교 교수
"특히 우리 광주에 있는 자치구들은
이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서
사람들이 특정 목적을 위해서
기부하는 걸 만들어 놓은다면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거죠."

지자체가 주관하는 모임과 후원회를 통해
기부금을 강요할 수 없고,
공무원이 직접 향후회나 단체 등에 연락해
모금 활동을 할수 없도록 한 규제도
재논의가 필요합니다.

여기에다 지자체의 과잉경쟁을 막기위한
모금홍보 제한도 과감히 풀어
시행초기에 고향사랑기부제를
우선 활성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도가 안착하기 위해선 시민들의
자발적인 기부가 필수 조건인만큼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해보입니다.

mbc뉴스 김영창입니다.
김영창
광주MBC 취재기자
시사보도본부 뉴스팀 정치행정 담당

"불편한 진실에 맞서 끝까지 싸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