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안, 고향 빈집 어떻게 하시렵니까


◀ANC▶
오랜만에 찾은 시골마을 지나면서
흉가로 바뀌어버린 빈 집들 한 두 채쯤은
보셨을 겁니다.

빈집들이 고향마을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는데,
온 가족 모인 김에 빈집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 지 이야기해보는 건 어떨까요.

양현승 기자입니다.
◀END▶

◀VCR▶

국도 1호선 주변의 한 마을.

마당이 꽤 넓은 이 집은 벌써 십 년 넘게
방치돼 있습니다.

잡초는 어른 키만큼 자랐고,
기와집 곳곳은 비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렸습니다.

말 그대로 흉가입니다.

◀SYN▶주민
"여러 사람이 민원을 넣어도 안 되더라고요.
저게 문제예요. 진짜 보기 싫잖아요"

거처를 도시로 옮긴 자식들이
부모님이 돌아가신 뒤에도 정리하지 않은
빈집이 태반입니다.

시골집은 팔아봐야 큰 돈이 되는 것도
아닌데다, 언젠가 고향으로 돌아올 지
모른다는 기대감 때문입니다.

이같은 빈집은 전남 22개 시군에만
만 천여 채에 이르고, 70%는 정비나 보수가
시급한 상태인데, 사유재산이라 손도 대지
못합니다.

◀INT▶박경빈
"외지 소유자들이 많아서 개인 재산권이라서
저희가 임의대로 철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제법 많아지고 있지만,
매물로 나온 빈집은 전체의 3%에 불과한 상태.

흉가처럼 방치된 고향집을 팔지 않겠다면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것인지,
출향인들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는게
고향 이웃들의 한결같은 바람입니다.
MBC뉴스 양현승입니다.
양현승
목포MBC 취재기자
목포시, 신안군, 심층취재 담당

"사대문 밖에도 사람이 삽니다"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