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5.18 기념재단-시민단체 갈등 이면엔?

◀ANC▶

5.18 기념재단과 시민단체의 갈등은
자칫 5.18의 위상 강화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가볍게 볼일이 아닌데요.

이같은 갈등이 왜 일어났고,
그 이면에는 무엇이 있는지
김인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VCR▶

5.18 기념재단이 노동탄압 등으로
혁신 요구를 받으며
광주시 특별감사까지 받게 된 배경에는
취약한 운영 구조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c.g)
1년에 한 번 국비 24억원과 시비 5억원을 받아
5.18 기념사업 등을 하는데,
직원을 안정적으로 채용할 운영재정은 열악해
대부분 계약직 형태로 고용 중입니다.

이런 고용 형태 때문에 지금까지
재단에서 일했던 숱한 직원들이
나가거나, 나가야 했습니다.

◀INT▶
5.18 기념재단 전 직원/ (음성변조)
"(5.18)왜곡대응 같은 경우는 엄청나게 크게 해왔잖아요. 그런 업무들을 굉장히 단기적으로 뽑아왔죠. 그 업무들은 지속적인 업무임에도 불구하고"

광주시 특별감사에서 지적된 보조금 정산 등
행정 미숙 역시 전문성을 쌓기 힘든
인력구조에서 상당부분 기인한 문제입니다.

사실상 후원회 영향이 절대적인 이사회 구조,
또 후원회 추천으로 정해진
상임이사 한 명이 전결권 대부분을 갖는 구조는
시대흐름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받아왔습니다.

시민단체들이 이사장과 상임이사 퇴진 등
급진적으로 개혁을 요구하게 된 원인도 자칫
1인 독주체제로 가기 쉬운 구조 때문입니다.

◀INT▶
정영일 대표/ 광주시민단체협의회
"5.18 기념재단이나 또는 5.18 이라고 하는 아
이콘은 특정한 조직이나 특정한 개인의 사유화
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재단이) 기득
권화, 이익집단화, 그리고 사유화됐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시민들이 지적하고 있는 부분입
니다."

혁신에 대한 높은 잣대를 대는 시민단체와
지금껏 엄혹한 세월을 스스로 견뎌왔다는
자긍심을 가진 5.18 기념재단과 후원회는
'개혁'을 말하며 시차를 겪고 있습니다.

(스탠드업)
암매장과 발포명령자 규명 등
국민의 눈이 5.18과 광주에 쏠린 지금,
5.18 기념재단의 개혁을 위해선
깊어진 감정의 골을 넘어
대화가 가능한 협의체가 꾸려져야 합니다.

또 재단의 안정적인 운영과
투명성을 담보하기 위한
제도적 근거를 만드는 데도
지역사회의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 뉴스 김인정입니다.

◀END▶
광주MBC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