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노루 급격히 줄어 6년 만에 포획 금지

◀ANC▶
제주도에 한때
노루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농작물 피해도 잇따르자
제주도가 포획을 허용했었는데요.

포획한 뒤부터 노루 개체수가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 확인돼
6년 만에 포획이 다시 금지됐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의 상징이었던
노루가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돼
포획이 허용된 것은
지난 2천 13년 7월

1980년대 멸종위기에 처해
보호운동이 시작된 뒤 급격히 늘어나
농작물을 먹어치우는 골칫거리가
됐기 때문입니다.

(c/g) 이에 따라, 노루 숫자는
지난 2천 9년 만 2천 800마리에서
2천 15년에는 8천마리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3천 800여마리로
적정 개체수인 6천 100마리보다도
적었습니다.

(c/g) 6년 동안 7천마리가 포획된데다
차량 사고로 2천 400마리가 줄었고
천적인 들개가 늘면서
자연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결국, 제주도는
오는 7월부터 일단 1년 동안
노루를 유해야생동물에서 해제하고
포획을 금지하기로 했습니다.

제주도 ◀INT▶
"노루 적정 개체수를 재산정하고 로드킬 차단시설을 지속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며, 피해 보는 농가를 대상으로 피해예방시설과 피해 보상금을 확대 보상할 방침입니다."

노루 포획을 처음부터
반대해온 환경단체들은
포획을 영구히 금지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환경단체 ◀INT▶
"제주도에만 서식하고 있는 특산종이기 때문에 만약에 제주도에서 멸종하면 지구상에서 멸종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생물 다양성이나 여러가지 부분을 고려해서..."

하지만, 농민단체들은
농가의 피해가 여전하다며
포획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어서
노루 포획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 뉴스 조인호입니다.
조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