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대통령 강경발언에 유가족*시민단체 실망

(앵커)
박근혜 대통령의 강경 발언으로
세월호 특별법은 더 멀어지는 분위기입니다.

진상 규명을 외쳐왔던 유가족과 시민사회는
실망을 넘어 분노했습니다.

김인정 기자

(기자)

세월호 참사 직후 진도체육관을 찾은 대통령은
철저한 진상규명을 약속했습니다.

◀ 박근혜 대통령 ▶
"이런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 데 대해서 철저한 조사와 원인 규명을 해가지고 책임질 사람은 엄벌토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참사 다섯달째
이번에 대통령이 강조한것은
대한민국의 근간이 무너진다 였습니다.
◀ 박근혜 대통령 ▶
"근본 원칙이 깨진다면 앞으로 대한민국의 법치와 사법체계는 무너질 것이고 대한민국의 근간도 무너져서 끝없는 반목과 갈등만이 남을 것입니다."

시민사회는
대통령이 입장을 바꿨다며 반발했습니다.

(싱크)
"유가족 요구사항 중 핵심인 수사권, 기소권 부여와 관련해서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진상규명은 더이상 필요 없다며 스스로 약속을 깨버린 것이며.."

반면에
여당은 대통령의 입장은 바뀐 것이 없다며
특검만으로도 진상규명을 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체육관에서의 약속을 철썩같이 믿고 있던
유족들은 배신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인터뷰)
박정대/ 고 박수현 군 아버지
"애초에 해줄 생각이 없었던 것 아니냐"

대통령의 이런 강경한 태도의 배경에는
세월호 문제를 바라보는
일부 국민의 의식의 변화와
야당의 무능이 자리한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인터뷰)
최영태 교수/ 전남대학교 사학과
"일부 국민들의 피로감, 야당의 자중지란 기다린 것 아닌가."

(스탠드업)
오늘도 법원에서는 세월호 재판이
열리고 있고 유족들은 진실이
밝혀지길 바라며 재판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족들이 바라는 특별법 제정이
더 어려운 국면으로 빠져들면서
세월호 참사의 진실 규명을 위한 발걸음은
더뎌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MBC뉴스 김인정입니다.

◀ANC▶
◀VCR▶
◀END▶
광주MBC뉴스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