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세월호 1년 뒤, 공감과 이해 가장 필요

(앵커)
오늘도 세월호 이야기로
뉴스 시작합니다.

어제가 참사 1주기였는데
이제부터 우리 사회는
뭘 해야할 지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타인의 슬픔에
등 돌리지 말고
공감해줘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김인정 기자입니다.
(기자)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이 가장 두려워했던
1년 이후의 시간이 오늘부터 시작됐습니다.

(인터뷰)
이호진/ 고 이승현 군 아버지
"1년이 넘어가면 그냥 잊혀질 것 같애서, 어떻게든지 국민들이 세월호를 다시 바라봐줬으면 하는 마음에서"

(화면 전환)

세월호 참사뒤 가족들 곁에 머물고 있는
거리의 의사 정혜신은
1년, 그 이후야말로
그들의 슬픔을 돌아볼 때라고 말합니다.

(인터뷰)
정혜신 / 치유공간 '이웃'
"그들의 고통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해야 될 것 같애요. 1년이 지났지만 제대로 우리가 1년 동안은 못했지만 지금부터라도 그 고통에 대해서 귀를 기울여야 된다고 생각해요."

온 국민적 슬픔이
세월에 무뎌져 가는만큼
일상 속 치유와 상대에 대한 이해는
여느때보다 귀해 보입니다.

(인터뷰)
최문정/ 치유공간 '이웃' 자원봉사자
"여기서 일주일에 한 번씩, 이웃에 와서 식사 봉사를 하고 있거든요. 가족분들 좀 일상생활이 힘드셔서 못 챙겨드시는 분들이 많으세요. 그래서 한끼라도 좀 따뜻하게 드리고 싶어서"

세월호 가족이 느끼는 상실감과
기나긴 슬픔에 그럴 수 있겠다는
공감만으로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은정/ 치유공간 '이웃' 자원봉사자
"곡해되고 있긴 하지만, 사실은 유가족분들이 우릴 위해 싸워주는 거잖아요. 최소한의 도리라고 생각해서 (봉사하고 있어요)"

"타인의 슬픔에 대해 '이제는 지겹다' 라고
말하는 것은 참혹한 일"이라고,
세월호 참사에 대한 작가들의 글,
<눈먼 자들의 국가> 를 엮은
문학비평가 신형철 씨는 썼습니다.

MBC뉴스 김인정입니다.


광주MBC뉴스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