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걸음 더] 현장취재뉴스데스크

[한걸음더]"그게 지진문자였어?"..재난 사각지대 놓인 외국인

(앵커)
재난 문자, 
귀찮게 느껴질 때도 있지만 
위급한 상황에는 반드시 필요한 안내인데요.

이주 노동자 등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크게 늘고 있는데도,
재난문자는 한글로만 제공되면서
외국인들이 재난 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 

서일영 기자가 현장에
[한걸음더] 들어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국땅에 홀로 시집와 고생하는
딸의 
육아를 돕기 위해 3개월 전 한국으로 온 부부.

베트남 농촌지역 출신에 고령이다보니 
당연히 영어와 한국어에 서툽니다.

그런데 며칠 전,  
집이 흔들리는 진동을 직접 느낀 뒤
이웃에 도움을 요청해야 했습니다.

맞벌이로 딸 부부가 떠난 뒤 
갑자기 경보음과 함께 도착한 문자의 
어떤 문구도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 황티옥빅 / 베트남 다문화 가정
"나중에 주변 사람이 '지진이 있었다'하고
그다음에 그날(지진 당일)에 
느꼈기 때문에
'아 그게 지진문자 였구나' 
생각했습니다. "

올해 12만 명으로 
매년 역대 최대 인력 규모를 경신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 역시 긴급 재난문자 속 
단어를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집니다.

* 히바 / 네팔 E9비자 이주노동자 
"많은 비가 오거나 갑자기 지진 나오는 시간에
갑자기 밖에 나오는 거...우리도 딱 시간에 알려주면
(피해서) 나갈 수 있어요. 모르니까 어떡해 우리"

주민 7명 가운데 한 명이 외국인인
이곳 영암은 가게 간판은 물론, 
이같은 현수막에서도 다양한 언어를 
만날 수 있는데요. 

정작 위험을 알리는 긴급재난문자는
한국어로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렇다보니 지진 사실을 
아예 모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무안의 한 대학교에서 2년째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 천배완씨. 

고국 친구들과만 어울리다보니
한국어가 서툴러 긴급재난문자는 
번역앱을 이용하는데, 번거로움에 
이해를 포기하기도 한다고 말합니다. 

* 천배완 / 베트남 유학생
"소리가 나는 문자 받았는데 근데 무슨 
내용인지는 잘 몰라서 그래서 그냥 중요하지 
않겠지 생각하고 지나갔어요. "

지난 2월 정부가 
핵심정보 일부를 영문으로 함께
표기하기 시작했지만, 다양한 국가의
이주노동자들이 이해하기엔 
여전히 한계가 있는 상황.

이때문에 국내 거주 외국인들을 위해 
재난경보를 개선해달라는 내용의 진정서가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됐습니다.

* 배준영 / 정의당 광주광역시당 사무처장 
"재난과 위험이 일상화된 시대에 재난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문자나 외국인에 대한 대처방안도 다양하게 지원이 돼야 할 것입니다"

지난달 기준 국내 거주중인
외국인은 193만 명. 

실제로 전남을 오가는
외국인 계절근로자수도 
지난 2022년 천여 명에서
올해 상반기에만 3천 8백여 명으로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MBC 뉴스 서일영입니다。 

서일영
경찰, 검찰, 교도소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