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농촌 의료 현실 열악..찾아가는 의료 서비스 확대 필요

(앵커)
도시에 비해 농촌 지역은 
의료 시설이 적고 교통이 열악해,
노인들이 제때 치료받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지자체들은 농촌 마을로 찾아가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농촌 고령화가 예상되는 만큼
의료 혜택을 받기 힘든 이들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며, 
이런 정책을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김초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올해 90살인 최수단 어르신은 
최근 허리와 다리 통증이 부쩍 심해졌습니다.

바닥에 앉기 힘들 정도입니다.

일주일에 한 번 버스로 30분 거리에 있는
한의원에서 
침을 맞으며 버텨왔는데, 
이제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 최수단 전남 화순군 도암면 (90살)
"지금 많이 아프다니까. 이렇게 안 아팠는데
이번에 다리가 허벅지가 이거 요즘, 지금.
손도 못 대게 아프고 파스 많이 붙였어. 
다리가 아프니까 더 (병원에) 안 가게 돼. 
머니까, 머니까 더 안 가져."

상대적으로 병원과 약국 등
의료 시설이 적고 
교통도 열악한
농촌에서는 
노인들이 아파도 
제때 진료를 받기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이 때문에 지자체들이 
보건소 의료 인력을 동원해, 
마을에 찾아가 진료하기도 합니다. 

"어머님 아프진 않으세요?"
"네."

전남 화순군의 경우 
이 같은 마을 주치의 사업을 
3년째 하고 있는데,
인력이 부족해 한계가 있습니다. 

의료진이 일주일에 한 번 진료를 나가도,
한 마을에 다시 가려면 4개월이 걸리는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갈수록 노인 인구 비율은 늘고 있습니다. 

30년 뒤에는 우리나라 인구 10명 중 4명이
65살 이상 고령층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에 지역소멸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농촌의 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려면,
이 같은 대책이 더 필요한 겁니다. 

* 나혜원 화순군 도암보건지소 직원
“어르신들이 아무래도 이제 나이 드실수록 
건강이 안 좋으시더라도 치료를 안 받으시고 
넘어가시는 분들이 많으시잖아요.
보면 (진료가) 필요하신 분들도 
새로 보이기도 하고 그러더라고요.”

특히, 현재 지자체의 의료 서비스는 
대체로 1회성 기본 진료에 그쳐, 
앞으로는 체계적이고 
연속성 있게 변화해야 한다는 과제가 남습니다. 

MBC뉴스 김초롱입니다. 



#농촌 #의료현실 #전남 #찾아가는의료서비스 #마을주치의 

김초롱
광주MBC 보도본부 취재기자

"더 따뜻하게 더 날카롭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