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스페셜우리동네뉴스

나주, 4년째 영산강 녹조현상..폭염에 확산 조짐

(앵커)
영산강에 또 녹조가 끼었습니다.

4대강 사업 이후
여름철의 단골 뉴스인데요.

눈으로 봐도 정도가 심하다고 합니다.

송정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녹색 물감을 풀어 놓은 것처럼
강물이 온통 초록색으로 변했습니다.

바위 틈 곳곳에는
녹색 알갱이가 둥둥 떠 있습니다.

(스탠드업)
녹조현상이 나타난 영산강 강가 주변에 있는
바위에는 이 녹조들이 들러붙어
바위가 초록색으로 변해 있는 상태입니다.

녹조띠와 거품이 강물을 뒤덮다보니
악취까지 풍깁니다.

예년보다 한 달 앞선 지난 5월 초,
영산강에 녹조현상이 나타나더니
날이 무더워지기 시작하면서
2달여만에 또 다시 녹조현상이 나타났습니다.

4대강 사업이 끝난
지난 2012년 나타나기 시작한 녹조현상은
올해로 4년째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환경단체들은 4대강 사업이
오히려 수질을 악화 시켰다며
이 정도면 물 속 생태계도
악화됐을 거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최지현/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하천은 기본적으로 물이 흐르는 곳이기 때문에 녹조가 이렇게 광범위하게 번성하지 않습니다 오랫동안.. 그래서 지금 4대강 사업의 실패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 현재 영산강의 녹조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녹조현상이 나타난 곳의
클로로필-a와 남조류 세포수가
아직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녹취)영산강유역환경청 관계자/(음성변조)
"한강하고 낙동강은 그 물을 취수해서 정수 한 뒤 먹는 물로 사용을 해요. 그러니까 그쪽은 녹조현상이 훨씬 더 중요하죠. 다행히 우리 관내 영산강은 취수원이 없어요.."

하지만 폭염주의보와 함께
당분간 비소식도 없어
녹조현상은 더 확산될 전망입니다.

MBC뉴스 송정근입니다.

◀ANC▶
◀END▶
송정근
광주MBC 보도본부 취재기자
주말뉴스데스크 앵커

"당신의 목소리를 먼저 듣겠습니다."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