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세먼지가 물러가긴 했지만
미세먼지 농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이제 시민들의
일상이 됐습니다.
그런데 광주의 미세먼지 측정소가
7곳에 불과하고 측정 높이도
시민들 눈높이와는 멀어서
정확한 실태가 반영되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미세먼지 사태 연속보도
남궁 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광주시 동구보건소에 있는
미세먼지 측정소입니다.
10만명의 지역민들이
의존하는 미세먼지 정보는
이 한 곳의 측정소에서 나온 것입니다.
숲 속이든 도로든 공사장이든
동네 구석구석의
지역적 특징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박지호/광주시 화정동
"미세먼지 자체가 주된 원인이 노후된 경차
같은데서 나오니까 당연히 도로 주변에 있
으면 미세먼지 농도가 더 높게 나올거라고
생각해요"
측정소의 높이도 문제입니다.
(스탠드업)
"제가 서 있는 곳은
4층 건물의 옥상입니다.
지상으로부터 18미터 위에
위치한 곳인데요,
제 뒤로 보이는 미세먼지 측정기에서
수집된 미세먼지 농도는
여기서 8킬로미터 떨어진
서석대의 미세먼지 농도와 같습니다."
사람 키보다 훨씬 높은 곳에서 재다 보니
실제 시민들이 체감하는 미세먼지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김정자
"(미세먼지 측정기가)보통 우리 눈 높이 그
정도가 제일 좋을 거 아니에요"
환경부는 지상의 측정소와
25미터 높이의 측정소의
미세먼지 농도 차이가 28%까지 벌어진다며
될 수 있으면 시민들 눈높이에
맞춰 측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CG)
광주지역 미세먼지 측정소 7곳의 평균 높이는 14미터에 달합니다.
(인터뷰)박기홍/광주 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교수
"건물 옥상에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기
기가 설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물론 전체적
으로 대표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안 가질 수
도 있는거죠. 사실 우리가 노출되는 농도랑
은 당연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측정소의 개수나 높이도 문제지만
자치단체들이 너나 할 것 없이 내놓는
대책도 문제입니다.
광주시를 비롯한 자치단체들의 대책을 보면 미세먼지 특보가 내려질 경우에
주로 집중돼 있습니다.
환경단체들은 이제
미세먼지가 일상이 된 만큼
평상시에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근본적 대책 마련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정은정/광주환경운동연합 간사
"광주시 안에서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것이 승용차라고 한다면 조금 더 획기적으
로 도로 다이어트랄지 아니면은 당장 적용
하기 힘들면은 출퇴근 시간만이라도 대중교
통 버스 전용차로를 도입해서 (미세먼지를) 줄여야 합니다."
언제 다시 닥칠지 모르는 미세먼지 공포.
우리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더욱 더
중요해졌습니다.
MBC뉴스 남궁 욱입니다.
Copyright © Gwang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