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녹두장군' 전봉준을 비롯해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선 동학농민혁명군을 독립유공자로 인정할지를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독립운동이 시작된 시점을 놓고 이견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주문화방송
조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선 동학농민혁명 '서훈 문제'가 거론됐습니다.
일본 제국주의의 경복궁 점거에 맞선 1894년 2차 봉기 참여자들을 마땅히 독립유공자로 예우해야 한다는 겁니다.
우리 근현대사를 다루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측은 공감을 나타냈습니다.
◀ SYNC ▶
[한수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관장(지난 18일)]
"가장 중요한 출발점 중에 하나가 동학농민운동이라 생각합니다. 의미를 더 풍성하게 할 수 있는 활동을 내년도 사업계획에.."
하지만 서훈 권한을 갖는 국가보훈부 생각은 180도 다릅니다.
◀ SYNC ▶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지난 9월)]
"대다수가 반대, 신중한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따라서 역사학계 다수는 현재까지, 독립운동의 시점을 을미의병으로.."
독립운동 시작을 '명성황후 시해사건'때 일어난 을미의병 때라고 보는 겁니다.
동학농민혁명은 그보다 1년 앞서 일어났기 때문에, 독립유공자가 아니란 판단입니다.
하지만 지난해 '외세침략에 맞선 민중봉기'인 동학농민혁명 관련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인정됐고,
최근 국회입법조사처도 독립운동의 맥락에서 다시 평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독립유공자 인정 필요성이 제기되면서도 국가기관들마다 모순된 판단을 하고 있는 겁니다.
◀ SYNC ▶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지난 18일)]
"(동학농민혁명 특별법은) 항일무장 투쟁으로 이렇게 규정하고 있는데, 1894년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로까지 독립운동 기점이 확대돼야 한다."
한편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3천여 명을 독립유공자로 인정하는 법 개정도 추진돼, 이들의 서훈을 둘러싼 논란은 더 뜨거워질 전망입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 END ▶
Copyright © Gwang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