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전당 개관 10년③ 아직 먼 문화중심도시

박수인 기자 입력 2025-01-24 09:18:23 수정 2025-01-31 11:05:52 조회수 232

(앵커)
개관 10주년을 맞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설립 취지는 
광주를 문화중심도시로 조성하는 데 
발전소 역할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은 
아직 갈 길이 멀고 
문화전당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박수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해 초 복원 공사 중 불이 난 얫 전남도청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핵심 시설 중 하나인 
민주평화교류원이었습니다.

5.18 당시 열흘간의 이야기를 
예술로 승화시킨 콘텐츠를 갖추고 
광주의 민주인권평화 정신을 
세계와 나누고 연대하는 거점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민주평화교류원을 
5.18 당시 도청 모습으로 복원하자는 
여론에 따라 지난 2023년부터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문화전당으로서는 창립 이념이자 
현 위치에 세워진 이유기도 한 
옛 전남도청과의 관계를 다시 설정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습니다.

더 큰 고민은 문화전당의 안정적인 재정을 
계속 확보하는 일입니다.

지금까지 문화전당 설립과 운영은 
모두 정부의 예산으로 이뤄졌습니다.

그런데 그 근거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법의 시효가
3년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 이강현 전당장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으로 있어서 광주전남 지역에 
계속 국비를 들여서 뭔가 세계적인 기관으로 자리를 잡도록 하는 
기간이 앞으로 최소 10년 정도는 필요하겠다."

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전반으로 보면 
그나마 문화전당은 상황이 나은 편입니다.

문화중심도시 4대 역점 사업 가운데 
문화전당 건립과 운영은 
계획 대비 예산 투입 비율이 92%에 달하지만,

5대 문화권 조성 등 나머지 사업들은 
예산 투입률이 30%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정부가 운영비 전부를 대는 문화전당과 달리 
나머지 사업은 정부가 예산의 절반만 대고
나머지는 광주시가 채워야 합니다.

* 김성배 광주시 문화체육실장 
"국가사업인데도 불구하고 지방비 부담이 상당히 있는 사업이라서 
이런 부분에 있어서 상당히 지역으로서는 부담이 되는 부분들이죠. 
그래서 국비 분담률을 상당히 좀 높여달라 그런 부분도 꾸준히 요구하고 있고요."

문화중심도시 특별법이 3년 뒤 만료되면 
그마저의 예산 지원도 사라질지 모릅니다.

* 류재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 대표
"2029년부터는 예산 투입의 근거가 사라지기 때문에 
말 그대로 사업의 진행이 상당히 어려워지겠죠. 
따라서 종합계획의 연장이 필요하다는 얘깁니다. 
이를 위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거죠."

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의 
기본방향과 종합계획 등을 심의하는 
조성위원회조차 윤석열 정부 들어 
3년째 구성되지 않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 정국이 
언제 마무리될지 불투명한 상황에서 
최고 추진 기구도 없는 조성사업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알 수 없습니다.

엠비씨뉴스 박수인입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중심도시 #문화전당개관10주년

Copyright © Gwang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박수인
박수인 suin@kjmbc.co.kr

광주MBC 취재기자
보도본부 뉴스팀 문화 담당

전 보도국장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