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광주 북구의 한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 침대 매트리스를
태우다가 뒤늦게 적발됐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매트리스 구조상 분류가 번거로워
불법인 줄 알면서도 이 같은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무분별한 소각으로 환경오염을 막으려면,
애초에 분류가 어렵게 매트리스를 생산하고 있는 제조사에도
재활용 의무를 부여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옵니다.
[한걸음 더] 집중취재 임지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광주 광산구의 한 폐기물 처리 업체입니다.
비가 내려 진흙탕이 되어버린 바닥에 침대 매트리스가 쌓여있습니다.
두툼한 장갑을 낀 작업자들이 칼로 천을 찢어내고,
그 안에 엉켜있는 철제 스프링들을 하나하나씩 손으로 걷어냅니다.
매트리스 안에 스프링과 천이
이렇게 하나로 묶여있는 구조를 포켓형이라고 합니다.
하나씩 포장돼 있는 스프링을
수작업으로 다 분류해야 해 재활용이 매우 어렵습니다.
* 최명환 / 광주 광산구 OO 폐기물 업체 부장
"평균 5명 붙으면 매트리스 한 장 뜯는데 15~20분 정도 소모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인력 투입을 해야 하는 안 좋은 상황이.."
이렇게 인건비를 따로 들이면서까지 작업을 해야 하다 보니,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불법 소각이 암암리에 이루어집니다.
* 광주 북구 OO 폐기물 업체 관계자 (지난 16일 광주MBC 보도)
"불법으로 알고는 있지만 해결 방법은 답이 없다."
문제는 매트리스를 불에 태우면서 나올 수 있는 유해 물질입니다.
여과 장치도 없는 야외에서 소각이 이루어지면
다이옥신과 수은 등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겁니다.
5년 전, 한 유명 침대 제품에서
방사성 물질 '라돈'이 발견돼 큰 논란이 일었는데도,
매트리스는 폐기물 부담금 대상이지
재활용 의무 대상엔 여전히 포함되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제대로 된 통계조차 없습니다
2021년 전국폐기물통계조사에 따르면
폐 매트리스는 연간 106만 개로 집계됐지만,
이마저도 표본이 전체 가구 중 0.25%밖에 되지 않습니다.
* 환경부 관계자 / 음성변조
"세부 품목별로 (폐기물) 스티커를 발부하지 않잖아요.
(대형 폐기물은) 그게 이름별로 아마 관리가 안 될 거예요.
법적 정의를 보면 '재활용이 어렵거나'라고 시작을 해요."
매트리스로 인한 무분별한 환경오염을 막으려면,
이제는 생산자들에게도 책임을 부여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제조사가 직접 폐기물을 수거하고,
재활용 업체에 보내야 하는 일명 'EPR 제도' 입니다.
현재 국내에선 유리병, 타이어 등을 만드는 제조사에
재활용 의무를 지키게 하고 있습니다.
* 서희원 / 기후변화센터 연구원
"매트리스에 EPR을 적용한다면 현재 단순 소각 매립되는
폼 면직물 등도 재활용이 돼서 단순 폐기를 막고,
새로운 가치 창출 효과도 저희가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환경부와 환경공단은 매트리스에 EPR 제도를 적용하기 전
먼저 제조사와 자발적 협약을 맺어 재활용 실적을 달성한 만큼,
폐기물 부담금을 줄여주는 대책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MBC 뉴스 임지은입니다.
#매트리스 #침대 #재활용 #환경오염 #폐기물 #EPR제도
Copyright © Gwang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