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걸음 더]

[한걸음더]농촌 치매노인의 현실[기획보도]② 농촌 치매노인 안전에도 빨간불...실종 사망 사고 잇따라

김초롱 기자 입력 2023-12-06 20:34:22 수정 2023-12-06 20:34:22 조회수 23

(앵커)
농촌 치매노인에 대한 기획보도 
두 번째 순서입니다.

치매노인은 뚜렷한 목적 없이
계속 길을 배회하는 
성향을 보이기도 해,
실종 신고가 적지 않은데요.

특히, 농촌에서 치매노인이 실종되면 
수색이 쉽지 않아, 
사망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까지 발생합니다.

하지만 정부 정책은 큰 효과가 없어 보입니다.

[한걸음더] 집중취재, 김초롱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0월 나주 다시면에 살던 
70대 치매노인이 실종됐습니다.

경찰이 헬기와 수색견 등을 투입했지만, 
노인은 결국 열 하루만에 영산강 인근 갈대밭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시신이 발견된 곳은 노인의 집에서
1km도 떨어지지 않은 곳입니다.

올해 8월 장흥에서도 
80대 치매노인이 실종됐다가,
신고 다음 날 댐 인근에서 발견됐습니다.

이미 숨을 거둔 뒤였습니다.

치매환자 실종 신고는 매년 끊이지 않습니다.

전남에선 지난해까지 5년간 
연평균 300건 이상 접수됐습니다.

올해는 10월까지 229건입니다.

사망자 집계는 별도로 이뤄지지 않는데,
알려진 사고만 여러개입니다. 

농촌에서 치매노인이 실종되면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수풀이 우거진 산에 들어가면 
길을 잃어 나오지 못하고 저체온증이 오거나 
추락 등의 위험이 있고, 
물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 겁니다.

수색도 쉽지 않습니다.

* 문영상 전남경찰청 강력계
"CCTV 등 행적 추적을 위한 안전망이 부족해
실종 치매노인의 초기 행적 파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에는 
주로 혼자 사시는 노인분들이 많이 계시는데
이런 분들은 초기 실종 신고도 늦게 되는 경우가 많아..."

치매노인 실종과 관련한 정책이 없는 건 아닙니다.

대표적으로 옷에 치매 표식을 붙이는 배회인식표와
치매노인 위치를 파악하는 배회감지기, 
지문 등록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매년 보급하는 
배회감지기 대수는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한 두 자리에 그치는 수준.

실효성 없다는 지적도 수년째 나오지만,
달라진 건 없습니다.

* A 지자체 관계자 (음성변조)
"(배회인식표는) 옷 안쪽으로 이렇게 다림질 하면
열이 가해져서 스티커처럼 
이렇게 딱 부착이 돼요.
사용하기 불편해서 
안 하고 계신다고..."

* B 지자체 관계자 (음성변조)
"시골 같은 경우에는 혼자 계시거나 노인 부부가 계세요.
(배회감지기) 충전을 
못하셔서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있죠."

치매환자의 10명 중 6명은
1번 이상 배회 증상을 겪는 현실.

더 현실적인 정책이 없다면,
치매노인이 2배 넘게 증가하는 20년 뒤에는
치매노인 사망 사고가
인재로 평가될지 모른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MBC뉴스 김초롱입니다.


Copyright © Gwang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