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18뉴스뉴스데스크

[다시, 체로키파일을 열다] 6편-여전히 책임 없다는 미국

(앵커)
전두환 신군부가 광주시민들을 학살하도록 
묵인하고 심지어 도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미국은 아직까지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죠.

하지만 체로키파일의 작성자이자 앞서 보도한 '두번째 회의'를 증언한 로버트 리치씨는 취재진에게 미국의 '실패'를 언급했습니다.

무엇을 실패했다는 뜻일까요?

계속해서 김철원 보도본부장입니다.

(기자)
미국의 5.18에 대한 책임은 44년이 지난 지금도 뜨거운 감자입니다.

한미연합사 소속의 한국군인 20사단의 병력 이동을 미국이 왜 승인해줬는지, 또 1980년 5월 27일 전남도청 진압작전을 왜 전두환측과 함께 논의했는지의 명분과 과정이 투명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의의 수호자를 자처하는 미국이 더구나 인권대통령인 지미 카터가 집권하고 있던 때라서 더욱 그렇습니다.

5.18 당시 미국이 광주시민이 아닌 전두환의 편에 섰다는 사실은 이후 한국의 반미정서를 크게 키운 핵심 요인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 1988년, 국회에 꾸려진 광주특위는 5.18에 무슨 역할을 했는지 규명하기 위한 질문서를 미국 정부에 보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광주의 상황을 제때 인지하지 못했고 한국인들끼리 벌어진 참사에 미국의 책임은 없다'는 요지의 답변서를 보냈습니다. 

* 故 윌리엄 글라이스틴/5.18 당시 주한미대사(생전인터뷰)  
"제 생각에 그 사건(5.18)에 대한 미국의 책임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한국인에 의해 발생한 사건이고 시위를 하던 학생들도 미국사람이 아닌 한국사람이었고 한국민을 상대로 사용된 군대도 미국인이 아닌 한국인이었습니다."

이 답변서 작성에 간여한 이가 바로 최근 취재진이 미국에서 만난 로버트 리치 당시 미 국무부 한국 과장입니다. 

리치씨는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던 도중 전두환과 관련해 '실패'라는 단어를 갑자기 꺼내 들었습니다.

당시 미국이 10.26 이후 한국이 민간 정부가 들어서 안정을 되찾을 때까지 전두환을 억제했어야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며 이는 미국의 '실패'였다는 것입니다.

* 로버트 리치 / 1900년 당시 미 국무부 한국 과장 
"전두환이 계속해서 반대로 움직이고, 결국 12.12 군사반란으로 명백히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그 측면에서 실패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면서 로버트 리치씨는 미국의 실패가 곧 미국의 책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광주시민들이 미국에 갖는 감정을 이해하고 광주에서의 비극을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미국에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단호하게 말했습니다.

* 로버트 리치 / 1900년 당시 미 국무부 한국 과장 
"유감스럽겠지만, 우리는 (미국은) 책임이 없습니다."

광주학살에 책임이 없다는 미국 정부의 주장은 지난 44년 동안 일관돼왔고 앞으로도 변할 가능성은 적어 보입니다.

그렇지만 미국 정치인과 관료들의 이런 주장에도 불구하고 의구심이 가시지 않는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 브레진스키 / 존스홉킨스 대학 교수 
"미국이 광주에 책임이 있는가? 이것은 아직 논쟁이 많이 있는 문제입니다. 하지만 미국이 완전히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당시 미국이 한국에 많은 영향력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아르헨티나 대통령과 함께 라 플라타 강에 헌화하고 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이 지난 1976년 쿠데타로 집권한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이 1983년 민주화 전까지 독재정권에 저항하는 시민들을 납치해 고문하거나 살해한 것을 묵인한 사실을 인정하며 사과했습니다.

미국은 오바마 대통령의 사과를 계기로 비밀문건을 추가 공개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 오바마 전 미 대통령 / 지난 2016년 3월 (KBS 뉴스)  
"미국은 이미 당시 문서 수천 건을 공개했 고, 앞으로 추가적으로 (더러운 전쟁) 관련 비밀문서 공개를 추진하겠습니다."

당시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남미 독재정권의 폭정을 묵인했다는 것인데 이는 1980년 당시 미국이 광주학살을 방조하고 전두환 신군부를 지지한 것과 비슷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44년 전, 전두환은 미국 정부와 의회의 인정을 받기 위해 안간힘을 썼고 미국은 전두환의 그 요구에 정확하게 부응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광주 시민들은 미국의 책임에 대한 인정과 사과를 요구해오고 있지만, 미국은 이 요구에는 44년째 응답하고 있지 않습니다.

미국 워싱턴에서 MBC뉴스 김철원입니다.  



#체로키파일 #미국 #책임론 #518민주화운동 #군부독재 #묵인 #전두환

































김철원
광주MBC 취재기자
보도본부장

"힘있는 자에게 엄정하게 힘없는 이에게 다정하게"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