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
근로정신대 피해자 법원에 미쓰비시 자산 압류 신청
대법원 판결에도 불구하고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에게 손해배상을 하지 않고 버티고 있는 미쓰비시중공업 측에 피해자들이 법원에 자산 압류를 신청했습니다. 양금덕 할머니 등 피해자 4명은 오늘(7) 서울 중앙지법에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자산압류신청을 냈습니다. 압류 대상은 미쓰비시중공업 측이 한국에 소유하고 있...
김철원 2019년 03월 07일 -
시교육청, 초등 1700개 교실에 공기정화장치 설치
광주지역 일선 학교에 공기정화장치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관련해 광주시교육청이 긴급예산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은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학생 건강권 확보 차원에서 26억원을 확보해 초등학교 교실 1700여곳에 공기청정기를 조속히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광주지역 각급 학교의 공기정화 장치 ...
김철원 2019년 03월 07일 -
민주노총, 노동법 개악 저지 총력투쟁대회
민주노총 광주본부와 전남본부가 총파업 총력투쟁대회를 갖고 노동자에게 불리한 내용으로 추진되고 있는 노동법 개악을 저지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어제(6)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투쟁대회에서 민주노총은 정부와 국회가 탄력근로제 도입에서 나아가 노조활동을 제약하는 내용이 담긴 노동법 개악까지 강행처리하려 하고...
김철원 2019년 03월 07일 -
광주 학교교실 60%는 공기정화장치 없어
광주지역 각급 학교 교실 10곳 가운데 6곳에 공기정화 시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광주지역 유치원과 초중고교에 있는 9천여 개 교실 가운데 공기정화 장치가 설치된 곳은 42%인 3천9백여 곳입니다. 또 유치원과 특수학교 교실에는 모두 공기정화 시설이 설치됐지만 초등학교 설치율은 5...
김철원 2019년 03월 07일 -
전두환, "재판 받으러 광주 가겠다"
(앵커) 전두환씨가 다음주 월요일, 광주 재판에 자진 출석하기로 했습니다. 부인 이순자씨도 함께 올 예정입니다. 강제 구인만큼은 피하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철원 기자입니다. (기자) 전두환씨가 다음주 월요일 광주지법에 출석합니다. 전씨의 법률 대리인인 정주교 변호사는 광주MBC와의 통화에서 "전두환 전...
김철원 2019년 03월 07일 -
전두환과 5.18 1 - 전두환, "재판 받으러 광주 가겠다"
(앵커) 전두환씨가 다음주 월요일, 광주 재판에 자진 출석하기로 했습니다. 부인 이순자씨도 함께 올 예정입니다. 강제 구인만큼은 피하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철원 기자입니다. (기자) 전두환씨가 다음주 월요일 광주지법에 출석합니다. 전씨의 법률 대리인인 정주교 변호사는 광주MBC와의 통화에서 "전두환 전...
김철원 2019년 03월 07일 -
전두환과 5.18 1 - 전두환, "재판 받으러 광주 가겠다"
(앵커) 전두환씨가 다음주 월요일, 광주 재판에 자진 출석하기로 했습니다. 부인 이순자씨도 함께 올 예정입니다. 강제 구인만큼은 피하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철원 기자입니다. (기자) 전두환씨가 다음주 월요일 광주지법에 출석합니다. 전씨의 법률 대리인인 정주교 변호사는 광주MBC와의 통화에서 "전두환 전...
김철원 2019년 03월 07일 -
故곽예남 할머니 추모 광주 수요집회
일본군 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광주 수요집회에서 참석자들이 최근 별세한 故 곽예남 할머니를 추모했습니다. 오늘(6) 광주시청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진행된 수요 집회에서 참석자들은 故 곽예남 할머니를 추모하고 일본군 성노예 문제의 진정한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집회에 참석한 광주시의원들은 "위안부 피해자의 명...
김철원 2019년 03월 06일 -
민주노총, 노동법 개악 저지 총력투쟁대회
민주노총 광주본부와 전남본부가 총파업 총력투쟁대회를 갖고 노동자에게 불리한 내용으로 추진되고 있는 노동법 개악을 저지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오늘(6)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투쟁대회에서 민주노총은 정부와 국회가 탄력근로제 도입에서 나아가 노조활동을 제약하는 내용이 담긴 노동법 개악까지 강행처리하려 하고...
김철원 2019년 03월 06일 -
광주 학교교실 60%는 공기정화장치 없어
광주지역 각급 학교 교실 10곳 가운데 6곳에 공기정화 시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광주지역 유치원과 초중고교에 있는 9천여 개 교실 가운데 공기정화 장치가 설치된 곳은 42%인 3천9백여 곳입니다. 또 유치원과 특수학교 교실에는 모두 공기정화 시설이 설치됐지만 초등학교 설치율은 5...
김철원 2019년 03월 0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