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걸음 더]
-
세월호 인양10 - 안심하기엔 이른 '인양'..구조물 제거
◀ANC▶ 세월호가 수면 위로 떠오른 안도도 잠시, 선체 일부가 바지선과 접촉하면서 차질이 생겼습니다. 선박의 차량 출입구인 램프를 잘라내고 있다는 소식에 인양 작업을 지켜보던 유가족들은 걱정에 밤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하는데요. 현장에 나가있는 김진선 기자 상황 전해주시죠. ◀END▶ ◀VCR▶ 네. 진도 동거차...
김진선 2017년 03월 24일 -
세월호 인양9 - 세월호 거치될 목포신항 '분주'
◀ANC▶ 세월호가 거치될 목포신항 역시 준비 작업이 한창입니다. 현장 점검이 이뤄지고 있고 철재부두 공간 배치계획도 윤곽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김양훈 기자입니다. ◀END▶ 세월호가 거치될 목포신항 철재부두는 3만 3천 제곱미터입니다. 바다에서 바라봤을 때 세월호 좌측공간입니다. 목포신항 철재부두에는 컨테이...
김양훈 2017년 03월 23일 -
세월호 인양8 - 잔존유 수백드럼, 유출 가능성에 '긴장'
◀ANC▶ 세월호 인양 현장.. 기름 유출이 걱정입니다. 선체가 모습을 드러낼수록 더 많은 기름이 흘러나올 것으로 보여 어민들이 크게 긴장하고 있습니다. 양현승 기자입니다. ◀END▶ ◀VCR▶ 세월호 선체가 점차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인양현장. 바닷속에 있던 세월호가 움직이면서 기름 일부가 유출된 상태입니다. ◀...
양현승 2017년 03월 23일 -
세월호 인양7 - 떠오르는 세월호 ..이시각 동거차도
◀ANC▶ 지금 세월호 인양 현장에는 세월호 선체가 수면 위로 절반 가까이 드러나있습니다. 희생자 가족들은 이시각 동거차도 산 중턱에서 인양 현장을 지켜보고 있는데요. 현장에 나가있는 김진선 기자 연결합니다. 김기자! ◀END▶ ◀VCR▶ 네 진도 동거차도에 나와있습니다. 이 곳은 인양 현장과 1.5킬로미터 가량으...
문연철 2017년 03월 23일 -
세월호 인양6 - 세월호 올려놓을 '목포신항' 준비 속도
◀ANC▶ 세월호가 인양되면 목포신항 철재부두로 옮겨집니다. 육상 이동 장비를 확보하는 등 세월호 거치 준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김양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세월호가 거치될 장소는 목포신항 철재부둡니다 전체 면적은 3만 3천 제곱미터, 바다쪽에서 봤을 때 철재부두 왼쪽 공간에 세월호가 거치...
김양훈 2017년 03월 22일 -
세월호 인양5 - "가족 찾아서 집에 가고 싶습니다"
◀ANC▶ 세월호 시험 인양이 이뤄지면서, 진도 팽목항에도 종일 애타는 긴장감이 흘렀습니다. 미수습자 가족들은 물론 팽목항을 찾는 시민들도 애끓는 심정은 모두 한결 같았습니다. 양현승 기자입니다. ◀END▶ ◀VCR▶ 2014년 4월 16일에서 1072일이 지난 진도 팽목항. 노란 리본이 붙은 빨간 등대 앞에 미수습자 가족...
양현승 2017년 03월 22일 -
세월호 인양4 - 현장은 지금
◀ANC▶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진도 해역에서는 오늘 선체를 1미터 가량 들어올리는 시험 인양이 실시됐습니다. 시험 인양에 성공하고 이후 기상 여건이 좋다면 본 인양까지 이어질 계획이지만 아직 확신할 순 없는 상황입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진선 기자, 지금 상황은 어떻습니까? ◀VCR▶ 네 세월호 참사...
문연철 2017년 03월 22일 -
세월호 인양3 - '세월호 맞이' 지역민과 함께해야
◀ANC▶ 세월호가 인양되면 목포신항으로 옮겨지는데요. 목포시와 전라남도가 종합 지원계획을 마련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행정지원 내용일 뿐 정작 지역민들과 세월호 추모분위기를 어떻게 이어 나가겠다는 내용은 빠져 있습니다. 김양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목포시와 전라남도가 세월호 선체의 목포신항 거...
김양훈 2017년 03월 22일 -
세월호 인양2 - "세월호 일단 인양부터" 한마음
◀ANC▶ 오늘(22) 세월호가 인양되면 오후 쯤에는 수면 위로 떠오른 세월호 선체를 볼 수 있게 됩니다. 날씨가 변수인데, 오늘 새벽 풍랑특보가 해제되면서 파도는 점차 잠잠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진선 기자입니다. ◀END▶ ◀VCR▶ 세월호의 무게는 7천 9백여 톤, 퇴적물 등을 포함한 수중 무게는 만 톤이 넘는 것으...
김진선 2017년 03월 22일 -
인권유린 피해 간 곳에서 또...
(앵커) 인권 유린을 피해 새로운 시설로 옮겨갔지만 또 다시 인권유린을 당한 장애인들이 있습니다. 피해자들은 다름 아닌 6년 전 '도가니 사건'의 여성 장애인들이었습니다. 김철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체장애인과 청각장애인 등 여성장애인 30명이 생활하는 복지시설입니다. 이 가운데 21명은 지난 2011년 이른바 '도가...
김철원 2017년 03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