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걸음 더]
-
콜레라2 - 위생 관리 신경쓰세요
(앵커) 콜레라는 대표적인 후진국병으로 알려져있죠 기록적인 늦더위까지 이어지고 있어 위생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할 상황입니다. 이계상 기자 ========= 콜레라는 주로 오염된 물이나 어패류 등의 음식을 통해 콜레라균이 사람 장 안으로 들어와 감염되는 전염병입니다. 주로 하수도 시설 등이 정비되지 않은 후진국에...
조현성 2016년 08월 23일 -
콜레라1 - 15년만에 국내 콜레라 환자 발생
◀ANC▶ 15년만에 국내에서 첫 콜레라 환자가 발생해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습니다. 이달 초 남해안 여행을 가서 먹은 해산물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송정근 기자. ◀VCR▶ 광주광역시에 사는 59살 정 모 씨가 설사 증세로 병원을 찾은 건 지난 11일입니다. 탈수가 심각하다고 본 병원 측은 곧바...
송정근 2016년 08월 23일 -
끼어들기 단속 무죄 판결..무리한 단속?
(앵커) 광주의 제 2순환도로에서 경찰의 끼어들기 단속에 적발된 한 시민이 이의제기 끝에 무죄라는 법원 판결을 받았는데요. 그동안 문제가 없다던 경찰은 해당 구간에서 단속을 멈추고 도로시설물 정비에 나섰습니다. 송정근 기자입니다. (기자) 제2 순환도로 효덕교차로를 이용해 목포 나주 방향으로 가는 차량의 블랙박...
송정근 2016년 08월 19일 -
협동조합2 - 외부 지원·내부 자구책 병행돼야
(앵커) 하지만 협동조합은 아직 걸음마 단계여서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외부의 지원과 함께 협동조합 내부의 자구책이 병행돼야 지속 가능한 협동조합이 설립될 수 있습니다. 한신구 기자입니다 (기자) 광주 광산구 일부 지역의 청소를 대행하던 위탁업체 환경미화원들은 지난 2013년에 협동조합을 결성했습...
2016년 08월 15일 -
협동조합1 - 광주에 협동조합 550여 개
(앵커) 이윤의 극대화가 우선인 시장 경제와 달리 인간의 삶과 발전을 우위에 두는 경제 활동을 사회적 경제라고 합니다. 이 사회적 경제의 일환으로 조합원이 공동 소유하고 수익을 공동 배분하는 협동조합이 광주에서 늘고 있습니다. 정용욱 기자입니다. (기자) 하루 1백명 가량이 찾는 우리밀 빵집입니다. 초기 자영업 ...
2016년 08월 15일 -
국내 가구도 전도사고..안전성 전수조사
(앵커) 최근 미국과 캐나다에서 이케아 서랍장이 넘어지면서 어린이가 사망해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국내 대기업이 만든 서랍장도 이케아 제품처럼 넘어져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송정근 기자입니다. (기자) 47살 장 모씨는 지난달 여름옷을 찾기 위해 서랍장을 열다 서랍장이 갑자기 쓰...
송정근 2016년 08월 12일 -
누진제3 - '억울한 누진제' 검침 시기에 따라 폭탄?
◀ANC▶ 주택용 전기만 '독박' 씌우는 누진제를 폐지하라는 강력한 여론에 떠밀려 대통령이 조만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그런데 혹시 같은 전기를 쓰고도 살고 계신 지역에 따라 누진제 적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은 알고 계셨습니까? 혹서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에 전기요금을 부과 받는 가정들이 불...
2016년 08월 11일 -
누진제2 - 불만에 '전력 위기' 겁주기
(앵커) 전국의 자치단체가 오늘(11)부터 일제히 개문냉방 단속에 들어갔습니다. 여느 해보다 두달 정도 늦었습니다. 누진제 불만이 폭주하자 전력 수급 위기를 부풀리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윤근수 기자 (기자) 문 열고 냉방하는 업소를 대상으로 일제히 단속이 시작됐습니다. 한 번 걸리면 경고지만, 추가로 ...
윤근수 2016년 08월 11일 -
연일 불볕더위..차량 안은 용광로
(앵커) 나흘 전(1일 기준) 4살 유치원생이 폭염 속 통학버스에 갇혀 혼수상태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뜨겁게 달궈진 차량 내부에서 시민들이 목숨을 잃거나 중태에 빠지는 사고는 여름철이면 종종 일어나는데요. 폭염 속에 차량을 방치할 경우 내부온도가 얼마나 뜨거운지 직접 실험해봤습니다. 송정근 기자입니다....
송정근 2016년 08월 01일 -
청년정책점검2 - 광주시 청년정책, 제대로 가고 있나
(앵커) 광주시의 '청년정책'은 청년들이 일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데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전국 최초로 청년전담부서를 만들어 추진하고 있는데 광주시의 청년정책, 잘 되고 있는지 점검해봤습니다. 김철원기자입니다. (기자) 대인시장과 1913송정역시장 등 광주의 전통시장들이 변신에 성공할 수 있었던 건 바로 ...
김철원 2016년 07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