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의 항쟁 정신을 상징하거나
이들의 희생을 기려야 할 장소들은
5.18 사적지로 지정하게 됩니다.
일부 장소는
뒤늦게 사적지 지정 절차가 시작되거나
문을 굳게 닫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 의미와 가치를 알려야 하는데
시민들에게 언제쯤 제대로 개방될 수 있을까요.
김초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1980년 5월 광주 시민들은
광주송정역 앞에 집결해
무장한 계엄군에 맞섰습니다.
광산구는 역 광장 6,800여 제곱미터를
5.18 사적지로 지정하기 위해
최근 신청서를 광주시에 제출했습니다.
이제 심의 등을 거치면
사적지로 지정되는데,
인파가 집중된 장소임에도
그간 역사적 의미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것에
아쉬움도 나옵니다.
* 김다찬 광주 남구
"이런 일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릴 수 있었다면
훨씬 더 사람들이 5.18에 대해서 가지는 인식들이 많이 달라지고,
조금이라도 더 나아질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은 들어요."
다른 곳은 5.18 사적지로
지정만 됐을 뿐입니다.
5.18 당시 계엄군은
광주교도소 일대에서
시민들을 무차별 사격하는 등
학살을 자행했고,
교도소에 시민들을 수감하고 고문했습니다.
이 때문에 광주교도소는
사적지 22호로 지정됐는데,
토지 소유주인 기획재정부가
이를 없애고 일대를 개발한다고 했다가
지역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습니다.
이후 교도소를 최대한 보존하고
공원 조성 제안도 나왔지만,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 속에
8만 7천 제곱미터 부지는 방치된 수준입니다.
"이곳은 여전히 시민들에게 개방되지 않은 채
문이 닫혀 있습니다. 공원이 언제 생기는 건지도 깜깜무소식입니다."
임시 개방에 그치는 곳도 있습니다.
지난 2020년 광주시가
부지와 건물을 매입한 사적지 11호,
옛 적십자병원은
이달에만 잠시 공간 일부를 개방했습니다.
5.18 당시 부상당한 시민들을
치료하던 곳인데,
그간 건물 안전진단, 활용방안 마련 등
준비를 해왔지만,
정작 예산이 없습니다.
광주시는 교도소 부지에
민주인권기념공원을 조성하는 사업과
적십자병원 활용 사업 등을
새 정부 공약으로 요청할 계획입니다.
사적지 규모가 크다 보니
대규모 예산이 필요해,
지자체 재정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 박용수 광주시 민주인권평화국장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은 민주주의 대헌장을 만드는 것이고,
5.18 사적지를 살아 숨 쉬는 민주주의 정당으로 만드는 것이야말로
다음 정부가 해야 할 시대적 과업이다."
다음 달 대선을 앞두고
후보, 정당마다 5.18 정신을 말하지만,
공약 반영과 실천에서
그 진정성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MBC뉴스 김초롱입니다.
#518민주화운동 #518사적지 #지정 #개방 #518정신
Copyright © Gwang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광주MBC 취재기자
보도본부 뉴스팀 정치행정 담당
"더 따뜻하게 더 날카롭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