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걸음 더]
-
전라도 정도 천년2 - 문화유산 복원사업 활발
◀ANC▶ 전라도 천년의 역사는 문화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훼손되거나 사라진 문화재를 복원하는 작업이 정도 천년을 맞아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문형철 기자입니다. ◀VCR▶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전라좌수영 본영으로 사용했던 진남관입니다. 건물이 한쪽으로 기울면서 현재는 거대한 ...
문형철 2018년 10월 19일 -
전라도 정도 천년1 - 에너지*문화로 도약
'경제적 낙후' 지역이었던 호남이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힘찬 도약을 꿈꾸고 있습니다. 호남 미래 발전의 중심축으로 빛가람 에너지밸리와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계상 기자... (기자) 대한민국 4대 평야로 한민족의 식량을 책임졌던 나주평야, 그 한복판에 빛가람 혁신도시가 터를 잡았습니다. 16...
이계상 2018년 10월 19일 -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대책 시급하다
(앵커) 운전면허를 갖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이 3백만 명에 이릅니다. 고령 운전자가 늘면서 이들의 교통사고도 덩달아 급증하고 있는데... 대책이 이런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종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장성 노란꽃축제 주차장에서 화물차가 관광객에게 돌진해 임신부를 포함한 5명이 다친 사고. 화...
우종훈 2018년 10월 16일 -
충금지하상가2 - 문화전당 연계 활성화 기대했지만..현실은
◀ANC▶ 광주시의 공유재산인 지하상가에서 영업권을 둘러싼 상인들과 광주시의 갈등, 최근 전해드렸는데요. 그런데 지하상가의 문제는 이것뿐이 아닙니다. 문화전당이 문을 연 뒤 상권이 살아나길 기대했지만 문화전당이 기대보다 고전하고 있고 지하상가 자체 문제도 해결되지 않아 활성화를 논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
2018년 10월 12일 -
여순사건70주년2 - 특별법 제정 "더이상 미룰 수 없다"
◀ANC▶ 여순사건의 발단이 된 제주 4.3 사건은 특별법을 통해 역사적 재평가를 받았지만, 여순사건의 진실규명을 위한 특별법안은 발의와 폐기를 반복해 왔습니다. 정권교체 이후 과거사 정리에 대한 기대가 커지기는 했지만, 또다시 물거품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보도에 김철원 기자입니다. ◀VCR▶ 지난 2011년 4월 열...
문형철 2018년 10월 12일 -
여순사건70주년1 - 70년 전 그날 여순 사건
◀ANC▶ 이번 달 19일이면 여순사건이 일어난 지 꼭 70년입니다. '제주 항쟁' 진압 거부로 촉발된 여순사건은 순천과 광양, 구례까지 확산돼 수천명의 양민이 학살됐습니다. 여순 사건의 날짜별, 지역별 상황을 조희원기자가 정리하겠습니다. ◀END▶ 1948년 10월 19일, 여수주둔 14연대 병력이 제주도 진압작전을 거부하...
김종태 2018년 10월 12일 -
코카콜라 갈등"특수고용노동자라서 더 힘들어
(앵커) 요즘 코카콜라 광주공장이 시끄럽습니다. 운송료 정상화를 요구하는 화물차 기사들과 운송회사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하루가 멀다하고 물리적 충돌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문제의 본질은 화물차 기사들이 특수고용노동자 신분이라는 데 있다고 합니다. 어떤 사정인지 송정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코카...
송정근 2018년 10월 12일 -
광주도시철도 2호선2 - 토론회서 찬반 '격론'
(앵커) 거리 여론전 뿐만 아니라 설문조사에 앞서 열린 TV 토론회에서도 찬반 양측이 치열하게 맞붙었습니다. 주요 쟁점들은 무엇이었는지 이계상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경제성 있나? -효과-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을 건설할 지, 말 지를 놓고 가장 뜨거운 쟁점이 경제성이 있냐는 점입니다. (인...
이계상 2018년 10월 10일 -
광주도시철도 2호선1 - 공론화 로드맵 확정
◀ANC▶ 광주 지하철 2호선을 건설할지 말지를 두고 시민 설문조사가 시작됐습니다. 찬반 양측의 여론전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건설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앞으로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공론화 로드맵도 확정됐습니다. 먼저 김인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달랑 두 칸" 2호선이다, 광주시내를 30분만에 이어준다,...
2018년 10월 10일 -
하남3지구2 - '환지' 방식이 원인
(앵커) 광주 하남 3지구 개발사업이 장기화하면서 여러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고 어제 전해드렸습니다. 오늘은 왜 이렇게 지지부진하고, 또 언제쯤이면 택지개발이 끝날지 따져봤습니다. 보도에 우종훈 기자입니다. (기자) 도로공사가 채 마무리되지 않은 광주 하남3지구 한 켠에 서 있는 건물. 지구 개발 계획에 따르면 ...
우종훈 2018년 10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