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걸음 더]
-
공원 10곳 중 4군데 CCTV없어...범죄 우려
(앵커) 도심 속 공원은 시민들의 휴식공간이기도 하지만 각종 범죄가 일어나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CCTV를 설치하고 있는데 광주지역 공원 10곳 중 4곳에는 CCTV가 아직도 설치돼 있지 않습니다. 남궁 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담배를 피우는 고등학생들에게 한 남성이 다가가 말을 겁니다. 이른바 담배 훈계가...
남궁욱 2018년 11월 18일 -
광주형 일자리2 - 협상 난항 원인은?
◀ANC▶ 광주시에 협상 전권을 맡긴 노동계는 양보할 건 다 양보했다며 협상 전망을 밝게 봤습니다. 하지만 현대차는 광주시와 노동계가 합의한 내용 중 몇 가지 사안에 대해 극도의 거부감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핵심 쟁점은 무엇인지 김인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노동계는 광주시와 만든 새로운 합의문...
2018년 11월 15일 -
광주형 일자리1 - 현대차와 협상 난항
(앵커) 광주시와 현대차의 투자 협상이 뜻대로 풀리지 않고 있습니다. 벽에 대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는 하소연이 나올 정도입니다./ 오늘이 데드라인, 즉 협상 마감 시한이라고 했는데 적어도 오늘은 합의 도출에 실패했습니다. 먼저 정용욱 기자입니다. (기자) 이틀 간의 끝장 협상에도 합의는 끝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
2018년 11월 15일 -
도시철도 2호선6 - 공론화에 나타난 '시민 뜻'
(앵커) 광주에서 공론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일단은 성공적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공론화 과정이 시민들의 생각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봤습니다. 보도에 이계상 기자입니다. (기자) (c.g-1)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건설에 대한 시민 1차 여론조사는 찬성 의견이 60%를 넘지 못 했습니다./ 이같은 비율...
이계상 2018년 11월 12일 -
도시철도 2호선5 - (전망설명)2호선 건설은 언제부터 어떻게?
(앵커)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건설은 이제 다시 본궤도에 오르게 됐습니다. 그럼 언제 공사를 시작하고,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되는지 김인정 기자가 마저 설명해드립니다. (기자) -------------------------------------------- 2호선 건설 절차 즉시 재개 -------------------------------------------- 현재까지 도시철도 2...
윤근수 2018년 11월 12일 -
도시철도 2호선4 - 공론화 '재개' 권고..지하철 속도낸다
◀ANC▶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론화위원회가 건설을 재개하라고 광주시에 권고했습니다. 광주시는 이를 즉각 수용했습니다./ 소수 의견도 귀담아 들으라는 공론화위원회의 권고도 꼼꼼히 챙기겠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김인정 기자입니다. ◀VCR▶ 공론화위원회의 권고는 도시철도 2호선 건설 재개였습니다. 시민참여단 7...
2018년 11월 12일 -
도시철도 2호선3 - 앞으로 어떻게 되나?
◀ANC▶ 공론화 투표 결과에에 따라 도시철도 2호선은 다시 건설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공론화 위원회의 권고안을 수용해 착공을 추진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남궁욱 기자입니다. ◀VCR▶ 지난했던 공론화 과정을 뒤로 하고 '압도적 찬성'이라는 결론을 도출한 공론화 위원회는 시민참여...
2018년 11월 10일 -
도시철도 2호선2 - 시민참여단은 '찬성'
◀ANC▶ 공론화에 부쳐진 도시철도 2호선 건설이 시민참여단 투표에서 찬성으로 결론났습니다. 16 년간 논란을 거듭한 끝에 도시철도 2호선은 사실상 건설 쪽으로 가닥이 잡히게 됐습니다. 김인정 기자입니다. ◀VCR▶ ◀SYN▶ 최영태 광주도시철도 2호선 공론화위원장/ "건설에 찬성한다. 191명, 78.6%입니다." 시민참...
2018년 11월 10일 -
광주 음주운전 유독 심각
(앵커) 음주운전 사고가 잇따르면서 처벌을 강화하라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여론의 압박 속에 국회도 이른바 '윤창호법' 처리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와중에도 음주운전은 계속되고 있고, 특히 광주의 음주운전 실태는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남궁 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새벽 시간 검은색 승용...
남궁욱 2018년 11월 08일 -
농어민도 산재보험 의무가입 추진해야
(앵커) 제조업,건설업처럼 농업도 산업입니다. 하지만 농민들은 산재보험 대상이 아니어서 일하다가 다치면 낭패보기 십상입니다. 정부와 자치단체가 민간보험에 가입하도록 보험료를 지원해주고 있지만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보도에 송정근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곡성의 한 마을길에서 80대 노인이 ...
송정근 2018년 11월 0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