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뉴스
-
대형 크루즈 입항..관광 활성화 계기
◀ANC▶ 대만에서 승객 2천여 명을 태운 대형 크루즈 선박이 오늘 여수항에 입항했습니다. 올들어 네번째 크루즈선 입항인데 여행객들의 반응이 좋다고 합니다. 강서영 기자입니다. ◀VCR▶ 바다를 헤치고 7만 톤급 썬 프린세스 호가 여수항에 입항합니다. 승객 2천여 명을 태우고 대만에서 출항한 크루즈 선박입니다. 여...
강서영 2019년 08월 16일 -
여수, 대형 크루즈 입항..관광 활성화 계기
◀ANC▶ 대만에서 승객 2천여 명을 태운 대형 크루즈 선박이 오늘 여수항에 입항했습니다. 올들어 네번째 크루즈선 입항인데 여행객들의 반응이 좋다고 합니다. 강서영 기자입니다. ◀VCR▶ 바다를 헤치고 7만 톤급 썬 프린세스 호가 여수항에 입항합니다. 승객 2천여 명을 태우고 대만에서 출항한 크루즈 선박입니다. 여...
강서영 2019년 08월 16일 -
해남, 옥매산의 절규, 끝나지 않은 역사
◀ANC▶ 일본으로 끌려간 피해자들과 달리 국내에서 동원된 피해자들은 손해배상은 커녕 정부의 지원도 못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백여 명이 수장됐던 해남 옥매광산 노동자들을 꼽을 수 있는데... 이들의 사연을 양현승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해남군의 한 바닷가 선착장. 일제 강점기때 지어진...
양현승 2019년 08월 15일 -
신안, 하의도 '평화의 섬'으로
◀ANC▶ 김대중 전 대통령이 태어난 신안 하의도는 인권과 평화를 상징하는 섬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김 전 대통령 서거 10주기를 기념하는 다양한 사업들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문연철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태어나 목포 유학 전까지 어린 시절을 보냈던 하의도 후광리 바닷가,...
문연철 2019년 08월 15일 -
나주, 독립유공자 후손 인정 안된 사연
(앵커) 나주에서 학생독립운동을 이끌었던 故 이창신 선생이 광복 74년 만에 독립 유공자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후손이 신청을 해서 유공자로 인정을 받은건데요, 광복절인 오늘 아무도 유공자 표창을 전달받지 못하게 됐습니다. 무슨 사연인지 김철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故 이창신 지사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일...
김철원 2019년 08월 15일 -
신안, 출하 앞둔 새우 집단 폐사..보상은 막막
◀ANC▶ 최근 출하를 앞둔 섬지역 새우양식장에서 집단 폐사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전기공급이 끊겨 발생한 피해인데 양식어가는 보상 받을 방법이 없어 발만 동동 굴리고 있습니다. 문연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도시생활을 접고 새우양식에 제2의 인생을 걸었던 한 귀어인은 하루 아침에 모든 걸...
문연철 2019년 08월 15일 -
영암, 수확기에 끝없는 폐기처분 행렬
◀ANC▶ 여름철 대표 과일 중 하나인 무화과 재배 농민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수확기 가격이 떨어진데다 벌레 피해까지 늘어 폐기 처분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박영훈 기자가 현장 취재 ◀END▶ 무화과 주산지인 전남 영암에 있는 한 농협 저장시설입니다. 이른 아침부터 차량들이 1킬로미터 이상 줄지어 서 있습니다...
박영훈 2019년 08월 14일 -
무안, 장삿속 지역농협..속타는 농심
◀ANC▶ '양파 주산지'하면 무안이죠. 그런데 무안의 농협이 다른지역 양파를 대량으로 사들였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가격 폭락으로 고통받고 있는 무안의 양파 농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문연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무안의 한 농협 앞에서 농민들이 항의 집회를 열고 있습니다. 양파 값이 ...
문연철 2019년 08월 13일 -
고흥, 도선료가 1000원, 도서민 '호응'
◀ANC▶ 100원 택시에 이어 이번에는 1000원 여객선이 등장했습니다. 고흥군이 전국에서 처음으로 이 제도를 도입했는데 섬 주민들이 반기고 있습니다. 김주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전남 고흥군 금산면 신양선착장. 이 곳에서 바다 너머로 보이는 섬 연홍도의 주민들은 도선을 이용할 때 배삯으로 1,000...
김주희 2019년 08월 13일 -
여수, 국민교육헌장비 존폐 논란
◀ANC▶ 국민교육헌장을 기억하십니까. 박정희 전 대통령이 국민 교육의 지표로 선포했다가 이후 민주화가 이뤄지면서 국가주의 교육의 잔재라는 비판을 받으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죠. 그런데 이 국민교육헌장을 새긴 조형물이 전국 곳곳에 남아있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강서영 기자입니다. ◀VCR▶ 여수 해상 케이...
강서영 2019년 08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