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걸음 더]
-
순천만 국가정원 2 - 정원문화 확산
◀ANC▶ 국가정원을 계기로 생활 속 정원문화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정원의 도시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정원 문화와 함께 지역에서 싹트고 있는 생활 속 정원을 박민주 기자가 소개합니다. ◀END▶ 뉴질랜드 남섬의 크라이스트처치. 도시의 3분의 1이 공원이나 보호구역이고 크고 작은 정원은 모두 900개가...
박민주 2015년 09월 05일 -
순천만 국가정원 1 - 대한민국 최초 '국가정원'
◀ANC▶ 오늘(5) 순천만정원이 대한민국 제1호 국가정원으로 새롭게 거듭났습니다. 국가정원 지정을 축하하기 위해 수많은 시민들이 함께 했고, 다양한 행사도 동시에 막을 올렸습니다. 문형철 기자입니다. ◀VCR▶ 국내 첫 국가정원 지정서가 순천시에 전달됩니다. 이어 시민들의 간절한 염원을 담은 물줄기에 꽃들은 새...
문형철 2015년 09월 05일 -
문화전당 부분 개장 6 - 문화의전당 이용 설명서
(앵커) 뉴스를 보면서 "문화전당에 한 번 가보고 싶다"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언제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 지 조현성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아시아문화전당 건물을 둘러싸고 광장이나 공원으로 조성된 옥외 공간은 언제든 이용 가능합니다. 다만 아시아문화광장 등 울타리 안쪽의 옥외 공간은 밤 10시 ...
윤근수 2015년 09월 04일 -
문화전당 부분 개장 5 - 아시아 킬러콘텐츠 만든다
(앵커) 문화전당의 다섯개 원이 다 중요합니다만 특히 관심을 끄는 곳은 창조원과 어린이 문화원입니다. 킬러 콘텐츠를 만드는 문화 발전소이자 어린이들의 문화 놀이터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계상 기잡니다. (기자) 캄보디아 앙코르와트에서 나온 유적을 첨단 장비로 스캔하면 모양 그대로 3D 이미지가 저장됩니다....
2015년 09월 04일 -
문화전당 부분 개장 4 - 절반의 개관.. 완성은 언제?
(앵커) 문화전당이 오늘부터 일반에 공개되지만 일부 시설과 콘텐츠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문화전당의 기능과 남은 과제를 한신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아시아 문화의 가치를 발견하고 재창조해 세계인과 공유하는 복합 문화공간을 표방하고 있는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 ... ** (그래픽) 5개 독립된 기관이 ...
한신구 2015년 09월 04일 -
문화전당 부분 개장 3 - 예술극장 개관 페스티벌 시작
(앵커) 문화전당 공개와 함께 다양한 콘텐츠들도 관람객들에게 첫 선을 보였습니다./ 지금 예술극장에서는 개관 작품이 공연되고 있는데요. 현장 연결합니다. 송정근 기자, 관객들이 많이 왔나요?// (기자) 네, 제 뒤로 보이는 건물이 문화전당 예술극장인데요... 실크로드를 따라 인도 수행에 나선 당나라 승려 이야기 공...
송정근 2015년 09월 04일 -
문화전당 부분 개장 2 - 베일 벗은 시민 광장
(앵커) 오늘 문을 연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처음으로 손님들을 맞았습니다. 국내외 관람객들이 다녀갔는데 어떤 반응이었을 지 궁금합니다. 김인정 기자입니다. (기자) 처음으로 문을 연 '빛의 숲'이 시민 앞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10년간 기다려온 전당은 도심 속 녹지공간과 드넓은 복합문화시설을 시민들에게 한꺼번에...
2015년 09월 04일 -
문화전당 부분 개장 1 - 불 밝힌 빛의 숲
(오프닝)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기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입니다.// 문화전당이 드디어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공개 첫 날의 모습을이곳 현장에서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 이 시각, 문화전당의 모습을 한 눈에 보실 수 있도록 광주 MBC가 상공에 헬리캠을 띄웠습니다./ 환하게 불을 밝힌 전당의 모습을 시청자 여러분도 ...
윤근수 2015년 09월 04일 -
방치된 섬 공사장..국립공원내 흉물
◀앵 커▶ 다도해 국립공원인 흑산도에 공사 작업장이 흄물처럼 방치돼 있지만 관리감독 당국은 손을 놓고 있습니다. 양현승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수십 년간 흑산도와 홍도에서 방파제 등의 공사를 해왔던 한 건설업체의 현장사무소입니다. 행정기록상 지난 1960년 단독주택 하나만 신고된 이곳에는 현재 콘크리트 구조...
양현승 2015년 09월 02일 -
도시철도 2호선 2 - 하나마나한 TF
(앵커) 이렇게 된 데는 무엇보다 광주시의 책임이 큽니다. 윤 시장 취임 직후 2호선 건설을 재검토할 때부터 광주시가 일부러 시간을 끌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어서 한신구 기자입니다. (기자)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비용이 정부 승인액보다 3천억 원 이상 더 든다는 걸 광주시가 안 시점은 지난 3...
한신구 2015년 09월 0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