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걸음 더]
-
중국 기획-1..중국에는 중국이 없다
◀앵 커▶미국과 함께 G2로 불리며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국. 우리 지역과는 지리적으로 아주 가깝죠. 이 중국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서로가 잘 살 수 있을 지... 광주 MBC는 올 한해동안 고민을 계속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새해에 맞춰서취재진과 함께 김낙곤 취재부장이 상하이 현지를 다녀왔습니다. (김낙...
이재원 2015년 01월 05일 -
KTX 호남선 개통-3..착공에서 완공 그리고 2단계는?
◀앵 커▶ 호남고속철도가 만들어지기까지는 8조원이 넘는 예산과 5백만명의 인력이 투입됐습니다. 또 광주에서 목포를 연결하는 2단계 사업도 예정돼 있습니다. 호남고속철의 과거와 미래를 정리했습니다. 함께 보시죠. ----이펙트(호남고속철 착공식2009.12.4)---- 이 착공식이 열린 게 지난 2009년 말이었습니다. 그로부터...
윤근수 2015년 01월 03일 -
KTX 호남선 개통-2..속도 혁명과 삶의 변화
◀앵 커▶ 이렇게 속도가 빨라지고 이동이 편해지면 개개인의 삶은 물론이고, 도시의 모습이나 경제 지도도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호남고속철도가 몰고올 변화, 이어서 송정근 기자입니다. 시민 누구에게도 해당되는 가장 큰 변화는 편리한 이동입니다. 서울을 가든, 충청도를 가든, 이전보다는 시간이 단축되고, 멀어서 ...
2015년 01월 03일 -
KTX 호남선 개통-1..서울-광주 93분
(앵커) 오는 3월이면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됩니다 KTX가 불러오는 속도혁명에 모습 김인정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스탠드업) 제가 서 있는 이곳 송정역에서 서울 용산역까지 가려면 KTX 열차를 타도 지금은 2시간 39분이 걸립니다.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왔다 갔다만 해도 6시간 정도, 그러니까 한나절이 다 지나갑니다....
2015년 01월 03일 -
아시아 문화전당-3..남은 과제는?
(앵커) 이렇게 어렵게 만들어낸 아시아 문화전당이 제 기능을 하려면 풀어야할 과제들도 있습니다. 누가 운영할지 주체를 결정해야 하고, 규모에 걸맞는 내용물도 채워야 합니다. 정용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가장 시급한 건 전당의 운영주체를 결정하는 일입니다. 운영주체를 국가로 규정한 특별법 개정안이 우여곡...
2015년 01월 01일 -
아시아 문화전당-2..대통령 공약에서 준공까지
(앵커) 국립아시아 문화전당이 이만큼 오기까지는 숱한 난관과 우여곡절이 있었습니다. 문화전당 건립의 역사를 영상으로 구성했습니다. 함께 보시죠. (영상) *.2002년 12월 노무현 대통령 후보 문화수도 공약 발표 *노무현(대통령 후보) "충청권은 행정수도, 부산은 해양수도, 광주는 문화수도.." *.2005년 12월 우규승 '...
이계상 2015년 01월 01일 -
아시아 문화전당-1..오는 9월 개관 앞둬
먼저, 오는 9월 문을 여는 아시아 문화 전당이 어떤 모습인지, 또 어떤 내용물로 채워지는지 박수인 기자가 소개합니다./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광주의 문화 융성 시대를 이끌어 갈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은 5.18 민중항쟁의 심장인 옛 전남도청에 세워졌습니다. 재미교포 건축가인 우규승씨가 설계한 문화전당의 또 다른 이...
박수인 2015년 01월 01일 -
떼도 떼도 소용없는 불법 현수막..왜?
(앵커) 특정 건설사를 광고하는 불법 현수막이 요즘, 거리를 점령하고 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보셨을 겁니다. 관할구청이 철거도 하고, 과태료도 수억 원을 물렸지만 현수막은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왜 그런 건지 김인정 기자가 현장에 나가봤습니다. (기자) 거리를 도배하다시피 뒤덮은 아파트 분양 광고 현수막. 모...
2014년 12월 25일 -
예산 없다며 중국산 염화칼슘 쓰는 지자체
(앵커)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올 겨울처럼 눈이 잦을 때는 제설작업 할 날도 많습니다./ 그런데 눈을 녹이기 위해서 도로에 뿌리는 염화칼슘이나 소금은 도로나 차량을 녹슬게 만듭니다.// 그래서 정부가 못 쓰게 하는데도 자치단체는 당장 돈이 덜 든다고 친환경 제설제를 외면하고 있습니다. 송정근 기자입니다./ (기자)...
송정근 2014년 12월 22일 -
범죄예방 '셉테드'-2..셉테드 성공하려면
(앵커) 그런데 이 '셉테드'가 광주에서 시도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3년 전 광주 경찰청이 만든 '치안올레길' 역시 비슷한 시도였는데요. 시간이 흐른 뒤 어떻게 됐을까요. 김인정 기자가 점검했습니다. (기자) 광주에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셉테드'가 시도된 건 처음이 아닙니다. 3년 전, 경찰은 범죄취약지를 중...
2014년 12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