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
[전주] "국립공원 개발 손 떼라".. 지리산 산악열차 '제동'
(앵커)케이블카와 골프장, 산악열차까지 개발 열풍이 불었던국립공원 지리산 개발에 제동이 걸릴 전망입니다.전북 남원시가 10년간 공들인산악열차가 환경부의 반려에부딪쳐 원점으로 돌아갔기 때문입니다.전주문화방송 전재웅 기자입니다. (기자)"지리산을 그대로! 지리산을 그대로!"국립공원 지리산을 지켜낸데 대해 남원...
전재웅 2024년 08월 21일 -
[원주] 버려지는 나무 적재적소에..'나무은행' 호응
(앵커)산이 많은 강원도에서는 각종 개발과정에서버려지는 나무도 많을 수 밖에 없는데요.이렇게 버려지는 나무나 기증 받은 나무를지자체에서 관리하다가 공익 사업에다시 활용하는 '나무은행'이 있습니다.자원도 아끼고 예산절감 효과도 톡톡히거두고 있습니다.원주문화방송 유나은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평창 미탄면...
유나은 2024년 08월 21일 -
"매월유통단지 우회도로 개설을"…중기중앙회-강기정시장 간담회
중소기업중앙회가 광주시와의 정책간담회를 갖고 매월유통단지 우회도로 개설 등을 건의했습니다.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오늘(21일) 강기정 광주시장을 만난 자리에서 협동조합 지원 확대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확대, 지역 중소기업제품 우선 구매, 납품대금 연동제도 정착 등을 건의했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광주광역...
김철원 2024년 08월 21일 -
군수재선거에 민주당 vs 혁신당 예비후보 등록 잇따라
10월 16일 치러지는 영광군수와 곡성군수 재선거를 앞두고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예비후보 등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영광에서는 민주당 6명, 조국혁신당 3명 등11명이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습니다.곡성에서는 민주당 3명, 혁신당 1명, 무소속 2명 등 모두 6명이 출사표를 던졌습니다.이번 재선거는 4...
김철원 2024년 08월 21일 -
[경남] 일해공원 공론화 해법 사실상 무산
(앵커) 전두환의 고향이죠.경남 합천군이 공원 이름에 전두환의 아호인 '일해'를 붙이면서 생긴논란이 벌써 18년째 이어지고 있습니다.전두환 사망에도 찬반갈등이 사라지지 않자합천군이 해결책으로 내놓은 게 공론화 방안인데, 일해공원 찬성, 반대 단체 모두 참여하지 않기로 해 사실상 무산 분위깁니다.MBC경남 이준석 ...
이준석 2024년 08월 21일 -
여수 도서지역 '드론배송 상용화'
(앵커)섬 지역을 대상으로드론을 이용해 물품을 배송하는 사업이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배송비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섬 주민들의 편의가 개선될 것으로보이는데요.사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확충과 규제 개선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습니다.문형철 기자입니다. (기자)드론 배송업체 직원이 간단한...
문형철 2024년 08월 21일 -
폐기물 버리고 가도 역추적 못해...치우는데 또 '예산'
(앵커) 고흥 소록도에 방치된 폐기물 실태를전해드렸는데요.주민들은 공사 업체가 폐기물을 그냥 두고 가거나 땅에 묻었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누가 놔두고 갔는지 역추적은 사실상 불가능해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애꿎은 혈세만 또 들어가게 생겼습니다.김단비 기자입니다.(기자)콘크리트 잔해와 폐전봇대 등온갖 폐기물이...
김단비 2024년 08월 21일 -
"쌀값 하락 주범, 쌀 수입 중단해야"..농협까지 투쟁 합류
(앵커)47년 만의 쌀값 대폭락에 농업 관계자들이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농민들은 애지중지 기른 논을 갈아엎었고,재고를 떠안은 농협 관계자들까지 거리로 나섰습니다.서일영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기자)노랗게 익어 고개 숙인 벼들을트랙터가 밟고 지나갑니다.5천여 제곱미터 황금 들판이 진흙밭으로 변해...
서일영 2024년 08월 19일 -
중복지원 된다더니‥전세사기 피해자 '부글'
(앵커)정부와 지자체가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해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전라남도도 최근 생활안정자금 100만 원을 지원하겠다고 대책을 내놨는데요.하지만, 이 생활안정자금이이미 지원을 받았던 피해자는중복해서 받을 수 없는 것으로뒤늦게 알려지면서 혼선을 빚었습니다.유민호 기자입니다. (기자)황순원 씨는 집...
유민호 2024년 08월 19일 -
도시재생사업, 10년의 변화와 그림자?
(앵커)도시재생은 쇠락한 옛도심의 환경 개선을 통해경쟁력을 갖추고 주민들이 오랫동안 살 수 있는 성장 모델을 만들자는 취지로 시작됐습니다.목포시의 쇠락한 구도심 목원동의 도시 재생 사업은 이런 기대를 만족시켰을까요?목포문화방송 허연주 아나운서입니다.(기자)100년 전, 동네를 누볐던 실제 물지게꾼 이름을딴 ...
허연주 2024년 08월 19일